고질적 신파
불나방스타쏘세지클럽
인생을 관통하는 기승전결 확실한 이야기에 광폭하게 강렬하면서 동시에 처연할 정도로 구슬픈 모순적인 정서는
이 음반에서 무엇보다 두드러지는 것은 음악적인 다양성이다. 애초 ‘야매 라틴’이라며 통기타에 멜로디언, 타악기라는 간단한 구성으로 출발했던 이들이 전문 연주자를 영입하여 밴드와 같은 구성을 갖추게 되면서 전체적인 구성이 탄탄해졌다. 장르적인 측면에서도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타이틀곡인 『석봉아』의 경우 한국 전래동화를 테마로 한 가사로 홍서범의 『김삿갓』과 육각수의 『흥보가 기가 막혀』의 뒤를 잇는 ‘민속그루브’를 지향, 한국 전래동화를 테마로 한 가사를 훵크스타일의 노래에 얹힌 원곡으로 실려 있는 한편, ‘열정 ver.’이라는 이름으로 장대한 신디사이저 라인을 특징으로 하는 80년대 홍콩 느와르의 주제가를 방불케 하는 버전으로 편곡되어 실리기도했다. 장기하와 얼굴들의 음반 《싸구려 커피》와 《별일 없이 산다》에 참여한 바 있는 술탄 오브더디스코의 나잠 수가 공동 프로듀서 겸 엔지니어로 참여하여 이러한 과정에 기여를 했다.
앨범 제목인 《고질적 신파》는 조까를로스의 신파에 대한 애증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신파의 유치함에 대한 비웃음이자 그래도 어쩔 수 없이 신파적 정서를 가질 수밖에 없는 스스로에 대한 고찰이 담고 있다. 엄청나게 유쾌하면서도 무지하게 슬픈 그들 특유의 모순적인 정서가 어디에 기원을 두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얘기다. 이러한 정서는 음반 표지에 삽입된 삽화를 통해서 잘 드러나고 있는데, 이는 회화로 명성을 떨치고 있는 조작까의 작업이다.
어떻게 감상하고 해석하여 즐기느냐는 듣는 이의 몫이지만, 고전적인 록 음악의 미학 따위의 잣대 아래 놓고 키치 같은 용어로 쉽사리 재단하는 고질적인 해석만큼은 이 음반에 적합하지 않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장난 거리에 더할 또 다른 한 줌의 농담(『석봉아』)이긴 하다. 하지만 더불어 흥건한 복수의 정서(『불행히도 삶은 계속되었다』, 『몸소 따발총을 잡으시고』)와 좌절(『악어떼』, 『원더기예단』), 그리고 그로테스크함(『이발사 대니얼』, 『싸이보그 여중생 Z』)과 같은 어두운 정서들이 공존하고 있다. 농담이면 농담이고 불온할 것이면 불온할 것, 이런 식으로 딱 떨어지는 것을 요구하는 사회의 고질적인 관습 아래, 농담은 농담이되 동시에 지극히 불온한 농담으로서 《고질적 신파》는 참신함을 갖는다.
물론 이런 것과 상관없이 현재의 바람은 웃기든 불온하든 간에 공중파 심의 잘 통과해서 방송에도 많이 나오고 잘 팔렸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어쩔 수 없는, 고질적인 음반 사업이다.
불나방스타쏘세지클럽

Albums
-
EP
붕가붕가레코드
2010
-
1집
붕가붕가레코드
2009
-
EP
붕가붕가레코드
2009
-
싱글
붕가붕가레코드
2013
-
디지털 싱글
붕가붕가레코드
2015
Members
-
유미
드럼 / 퍼커션
-
김간지
드럼 / 퍼커션 / 멜로디언 / 랩
-
조까를로스
보컬 / a. 기타
-
까르푸황
베이스
-
History
2009년 6월 첫 정규 음반 《고질적 신파》
2010년 9월 EP 《석연치 않은 결말》
2013년 6월 디지털 싱글 《캠퍼스 포크송 대백과 사전》